#캐나다여행 #Edmonton

#Ukrainian Cultural Heritage Village



알버타 에드먼튼은 사스카츄완 시골에 살면서 그나마 도시라고 자주 다녔던 곳이에요. 에드먼튼에 가볼만 한 곳은 West Edmonton Mall(웨스트에드먼튼몰) 하나 뿐인줄 알았는데 근처에 우크라이나 역사 마을이 있다는 사실을 SK주 생활 2년 만에 알게 되어 날씨 좋은 날 나들이 겸 가보았어요.


 캐나다 알버타에 우크라이나 문화와 역사에 관한 마을이라니 조금은 생소 하기도 한데, Ukrainian Cultural Heritage Village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캐나다 알버타 동부에서의 초창기(~1930년까지) 정착 생활을 재현해 놓은 장소로 1975년 알버타에서 현 부지를 인수 후 여기 저기 흩어져 있던 20세기 초기 건물들을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해요.



▶▶▶Ukrainian Cultural Heritage Village https://goo.gl/maps/rNEWfSX81HWvVAkG8



우크라이나 마을은 여름 시즌에만 7일 내 오픈. 아쉽지만 애완동물은 동반 할 수 없어요!




입구에서 먼저 입장 티켓을 구입 후 주자창으로 진입하면 

주차요원분들이 친절하게 웃으며 자리를 안내해 줘요. 

오픈 시간에 맞춰 일찍 가야 나무 그늘 아래 주차 가능합니다ㅎㅎ



마을 입구에 들어가니 밭을 갈고 있길래 

실제로 우크라이나인들이 거주 하는구나~ 

했는데 직원이었어요 ㅋㅋㅋ



동네 사람에게 인사하듯 말도 걸어줘요. 

그래서 처음엔 진짜 여기 사는 사람인줄 ^^



밭을 갈고 있던 분의 집에 들어가니 이 곳에도 예쁜 언니가~



집 구경 후 나오니 요건 맛보기 였다는 거~

비지터 센터를 지나야지만 우크라이나 마을을 경험 할 수 있어요.




비지터센터에서 지도 꼭 받아가세요ㅎㅎ

지도로 봤을 땐 작아보이는데 실제면적이 꽤 넓어요.



마을로 들어가는 전 안내 영상을 볼 수 있어요.

중국어 일본어 다 있는데 한국어만 없으니 괜히 아쉽더라구요.








호텔로 향하는 손님이 보이길래 언능 따라가 봤어요



반갑게 맞아 주는 호텔 직원들이 

하루 숙박비는 1불 조식도 가능하다며 식당도 보여주고

손님이 방을 구경하고 싶다하니 2층으로 안내하더라구요ㅎㅎ



호텔 구경 후 나오니 때마침 마차가 도착!!

마차가 올 때 마다 탈 수 있는게 아니라 언능 뛰어갔죠.



말의 크기 꽤 큰데 궁딩이가 씰룩 씰룩 귀여워요ㅎㅎ




건물들이 띄엄띄엄 있어서 그런가 뭔가 꾸며 놓은게 아닌 진짜 마을을 구경하는 것 같아요




사진을 보니 터덜터덜(?) 말발굽 소리가 다시 생생하네요ㅎ

여유롭게 돌아서인지 중앙을 기준으로 오른쪽만 돌았는데 

건물 갯수에 비해 면적이 엄청 커요. 꽤 오래 탄듯.





실제로 우크라이나인들이 사용한 그 시대의 곡식 창고에요.




곡식 창고 안에서 엘리베이터의 작동, 곡식 운반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되는 지 볼 수 있어요.

아직도 작동이 되는게 신기하네요ㅎㅎ






대장간에서도 열심히 무언가를 만들고 있어요.

여기 마차들이 튼튼한 이유가 있었네요





내부가 조금 휑하긴 하지만

당시 교회 건물도 잘 보존 되어 있구요







돌아오는 길에는 비지터센터 건물 한켠에 전시관에 들렀어요

그 시대의 전통복과 시대 배경 그림들이 전시되어 있어요







그 옆에 있는 기프트샵이에요

아가들 옷 입혀주면 너무 귀여울 것 같죠?ㅎㅎ



비지터센터 밖으로 나오면 우크라이나 전통음식을 맛볼 수 있어요

레드불에서 협찬했는지 귀여운 레드불 차가 옆에 주차되어 있구요



푸드 티켓을 먼저 구매해야 하는데 역시나 비싸지만

여기까지 갔으니 한번 먹어 봐야죠~



소세지 양배추롤 감자 그리고 우크라이나식 만두를 한접시 가득~ 담아줘요

맛은.. 그냥 그냥 한번으로 만족 합니다ㅋㅋ



식당인줄 알고 들어간 곳에 우드카빙 작품들이~~






노란 자켓을 입고 있는 키다리 아저씨가 너무 맘에 들어서

혹시 구입할 수 있는지 물어봤더니 파는게 아니라네요

아쉬워라..



판매용이 아니라 광고용이었어요

나중에 시간 되면 배워보고 싶은 마음이ㅎㅎ



가족들끼리 많이 오던데

피그닉 장소로 딱이에요!





아이들 공연도 볼 수 있어요



여기는 좌석이 따로 없어서

돗자리나 개인의자를 챙겨가면 편해요




 돌아가는길의 하늘이 너무 이쁘네요

날씨가 너무 좋아서 우크라이나 빌리지도에서 하루도 너무 좋았구요!

에드먼튼에서 가까우니 나들이겸 가볍게 가셔도 좋을 것 같아요ㅎㅎ



블로그 이미지

마블리에

Sweet Newlywed Life in Canada. 캐나다 이민 및 일상 생활 정보 공유

,

#캐나다이민 #주정부이민 #SINP

#Nominee #사스카츄완

 

Saskatchewan Immigration Nominee Program

 

지난 포스팅에서 캐나다 연방 이민과 주정부 이민에 관하여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정도에 대해서만 설명했었습니다.

이번엔 제가 이민한 주인 사스카츄완(Saskatchewan)주를 통한 이민 SINP에 대해 알아볼게요.

주정부이민에 대해 처음이라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Saskatchewan Immigrant Nominee Program은

1.기술이민

2. 비즈니스 이민

3. 농업이민

4. 사스카츄완 경험 이민

크게 4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은 기술이민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 기술이민 - International Skilled Worker

기술이민은 숙련직인 NOC '0'(Zero) 'A' 'B' 직군만 신청 가능합니다. 기술이민에는 3개의 하위 카테고리가 있고 이 3개의 카테고리 모두 5가지 항목을 점수화 해서 100점 만점중 60점 이상이 넘어야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각 항목별로 받을 수 있는 최대 점수가 정해져 있으니 먼저 점수계산을 해봅니다. 

클릭 Click ▶ 점수계산하기

60점이 넘어 신청 자격이 된다면 이제 각 하위 카테고리별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Employment Offer

- 최근 10년간 최소 1년이상 일한 경험

- 최근 2년내의 유효한 영어점수 CLB 4점 이상(IELTS R-3.5 / W-4.0 / L-4.5 / S-4.0 )

- 고용주의 잡오퍼 (Job Offer) 와 SINP Job Approval Letter

ex) 충족되는 영어점수와 레스토랑 수퍼바이저로 최근 10년 내에 1년 이상 일한 경험이 있고 SINP에 고용주 등록(사업장 등록)이 되어 있는 고용주에게서 잡오퍼를 받고 고용주가 신청해준 Job Approval Letter를 승인 받는다면 노미니 신청이 가능합니다.

 

2) Occupation In-Demand

사스카츄완주에서 부족한 직군을 충당하기 이민을 서포트 하는 카테고리로 부족 직군에 한해서만 이 카테고리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링크 걸어둔 리스트는 19년 5월 1일 업데이트 된 것으로 언제든 바뀔 수 있으니 사이트에서 지속적인 체크가 필요합니다. 

클릭 Click ▶ SINP In-Demand Occupation List

- 최근 2년이내 영어점수 CLB 4점 이상

- 캐나다의 1년제 이상의 대학 과정과 같은 레벨의 학력 및 학력인증(ECA)

- 직종에 따라 관련 자격증 필요

- 셋 중 하나의 일한 경험

    ☞ 최근 10년간 1년 (non-trade) / 최근 5년간 2년(trade) / 최근 3년간 12개월 캐나다에서의 경험(trade & non-trade)

- IRCC에서 지정한 기준의 초기 정착 자금과 계획서

Occupation In-Demand 카테고리는 SK주 자체의 신청자 선발 시스템인 Expression Of Interest (EOI) 통해 신청서를 제출한 후 선발되어 초대장을 받아야만 노미니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3) Saskcatchewan Express Entry ★

사스카츄완 Express Entry는 이미 연방 EE 프로파일을 접수하여 Express Entry pool 에 들어가 있는 대기자들만이 추가 점수 600점을 획득 하기 위해 신청하는 카테고리 입니다.

 

연방 Express Entry에 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19/05/23 - [캐나다라이프/이민이야기] - [캐나다이민] 이민 공부하기 Express Entry 연방이민

 

Express Entry의 총점이 1200만점인데 그 중 EE 프로파일 작성으로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600점이고, 나머지 600점은 주정부를 통해 Express Entry용 노미니를 받아야만 합니다. 노미니 하나가 600점인 만큼 소수만 선발해요. 여기서 주의 할 점은 다른 카테고리로 신청하여 받은 일반 노미니는 Express Entry 600점을 받을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꼭 주정부 이민 카테고리중 Express Entry 라고 되어 있는 카테고리를 통해 노미니를 받아야 합니다.

Saskatchewan Skilled Worker - Express Entry 카테고리 자격 요건은 Occupation In-Demand 카테고리의 자격 요건과 같습니다. 

 

SINP - International Skilled Worker 카테고리는 한국에서 노미니를 신청할 수 있고 승인 후 연방 접수까지 안전하게 끝낸 후 캐나다에 입국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마블리에

Sweet Newlywed Life in Canada. 캐나다 이민 및 일상 생활 정보 공유

,

#ExpressEntry #캐나다이민 #주정부이민


Express Entry로 이민이 어렵다면 주정부 이민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PNP (Provincial Nominee Program)는 주정부라는 단계를 거쳐서 노미니 승인 레터를 먼저 받고 그 레터를 가지고 연방(IRCC)에 접수 하는 이민 방법입니다.


노미니 레터는 주정부의 추천레터라고 볼 수 있는데, 조금 다르긴 하지만 한국으로 비교하자면 경기도나 강원도, 충청도 같은 도에서 대한민국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는 개념이에요.

주마다 노미니를 신청할 수 있는 기준이 다르지만 보통 6개월에서 1년의 경력이 필요하고 주정부는 연방에 접수한날로부터 평균 16개월정도 프로세싱 기간이 소요됩니다.

주정부이민은 B직군 이상이면 영어점수가 필요 없는 카테고리도 있고 비숙련직인 NOC C, D 직군으로도 신청 가능한 카테고리도 있습니다. 비숙련직으로는 대부분 레스토랑 서버, 바텐더, 호텔 하우스키핑, 프론트 등으로 많이 신청하고 있어요.

그럼 캐나다에 어떤 주가 있고 어느 주정부 이민 신청이 가능한지 알아볼게요.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준주로 이뤄진 연방 국가로 주(Provincial)와 준주(Territory)의 차이점은 헌법개정한에 있으며 헌법을 개정할 때, 주는 해당 주정부에 의해 결정되고 준주는 연방정부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 퀘백과 누너벗을 제외한 11개 주와 준주를 통해 주정부 이민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퀘백이민은 따로 있어요)

캐나다 하면 온타리오 주의 토론토나 BC주의 밴쿠버가 많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도 물론 주정부 신청이 가능은 하지만 이미 사람이 많기 때문에 다른주에 비해 신청조건이 까다로운 편이에요. 다른주와 비교했을 때 조금 더 어렵다는 것 뿐 불가능 한 건 아니니 대도시를 좋아한다면 이민 조건을 잘 활용해서 시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캐나다 연방 이민 신청에 대해 알아보려면 연방 홈페이지인 IRCC 사이트에 들어가봐야 하는 것처럼 주정부 이민에 대해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각 주정부 사이트의 이민 카테고리를 정독하는게 중요합니다.


- Ontario Immigration Nominee Program (OINP) - BC PROVINCIAL NOMINEE PROGRAM (BC PNP) - Alberta Immigrant Nominee Program (AINP) - Saskatchewan Immigrant Nominee Program (SINP) - Manitoba Provincial Nominee Program (MPNP) - Newfoundland and Labrador Provincial Nominee Program - NLPNP - Nova Scotia Nominee Program (NSNP) - Prince Edward Island Provincial Nominee Program (PEI PNP) - New Brunswick Provincial Nominee Program (NBPNP) - Yukon Nominee Program (YNP) - Northwest Territories Nominee Program (NTNP)


블로그 이미지

마블리에

Sweet Newlywed Life in Canada. 캐나다 이민 및 일상 생활 정보 공유

,

캐나다 이민 스스로 찾아보고 공부하기!!

특이 케이스가 아니라면 이민 신청 방법이 크게 어렵지 않아요. 이민 신청이 어려운게 아닌데 어디서 부터 어떻게 알아봐야 할지 몰라 이주공사부터 찾게 되는 것 같아요.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경제적 부담도 줄이고 영어 공부도 할 겸 직접 신청해 보는건 어떨까요? 하나 하나 천천히 시작하면 혼자서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캐나다 이민에 대해 뿌리부터 자세히 나와있는 IRCC 사이트(예전 CIC)에 접속하여 대략적인 큰 그림을 살펴 봅니다. 모든 건 IRCC 사이트에 다 나와있어요!

*IRCC 사이트 *

캐나다 이민에는 보다시피 EE(연방)와 PNP(주정부), 임시프로그램인 AIPP(아틀란틱), 가족초청, 퀘백주이민, 난민, 사업이민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크게 Express Entry(연방) 와 Provincial Nominee(주정부)로 나뉘고 두 카테고리가 가장 많이 이민하는 방법입니다.

Express Entry는 연방정부에 다이렉트로 신청하는 방법이고 Provincial Nominee Program은 주정부를 거쳐서 연방에 신청하는 방법으로 주정부마다 이민 카테고리와 조건이 조금씩 다릅니다.

Express Entry 조건이 된다면 시도해보고 안되면 그 때 주정부를 생각해 보는게 순서일 듯 해요.

Express Entry 신청을 위해 먼저 IRCC 사이트에 신청자의 프로파일을 작성해야 하는데 나이, 학력, 경력, 언어능력이 CRS 라는 랭킹 시스템을 통해 점수로 환산된 후 합산한 종합 점수로 온라인 풀에 들어가게 되고 대기하게 됩니다. 캐나다 정부는 매 라운드마다 점수순으로 선발하여 대기자들에게 초대장을 발송하고 초대장을 받은 사람들만이 Express Entry 로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점수는 카테고리 마다 다르니 세부사항을 정독하고 유리한 카테고리를 선택해야 합니다.

Express Entry는 온라인으로 모든 서류를 업로드 하고 신청하므로 간편하기도 하고 서류심사가 6개월로 가장 빠른 점수제 이민 방법이며 3개의 하위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1) 유학 후 이민 CEC

첫번째, CEC는 유학 후 이민으로 많이 알고 있는 캐나다 경험 이민으로 캐나다 내에서 최근 3년 이내에 1년 이상, NOC B직군 이상으로 일한 경력이 필요합니다.

NOC란 각 직업에 4자리 숫자코드를 붙여서 zero부터 D까지 5개의 직군으로 레벨을 구분하며 0(zero) A B 직군은 숙련직이고, C D 직군은 비숙련직으로 나뉘는데 Express Entry는 B직군 이상이어야 합니다.

NOC Level

NOC 코드는 0011~9619 로 세분화 되어 있고 이민 신청시 꼭 필요하니 신청자의 직업명과 직무를 검색해서 4자리 코드와 레벨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NOC 코드 리스트

Find your NOC

언어능력은 최근 2년 이내의 영어나 불어 시험점수가 필요합니다.

보통 많이 시험 보는 아이엘츠로 환산할 때 6점이면 CLB 7 레벨을 받을 수 있고 캐나다 시험인 CELPIP 점수는 CLB 레벨과 동일합니다. (ex. CELPIP 6 = CLB 6)

아이엘츠(IELTS) 점수 CLB Level 환산표

시험은 아카데믹(Academic)과 제너럴(General Training) 두종류가 있는데 아카데믹은 대학 입학등 학업용, 제너럴은 이민용으로 아카데믹이 시험 레벨은 더 어렵지만 이민 신청시 사용할 수 없어요.

영주권 신청일 기준으로 2년 이기 때문에 신청 시기에 따라 시험일을 잘 맞춰야 합니다.

Express Entry는 점수제 이므로 당연히 영어점수가 높을수록 유리하고 영어점수가 낮고 시험 본지 2년이 다 되어 갈 때 신청한다면 이민관으로부터 재시험 성적을 요구 받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잡 오퍼나 학력은 CEC 카테고리에 필수요건은 아니지만 있다면 추가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전문인력이민 FSWP

FSW 전문인력 이민은 먼저 6가지 심사항목을 점수로 계산하여 100점만 점 중 67점 이상이 되어야 FSWP 카테고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역시나 영어점수가 높으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FSW 점수표

Six selection factors FSW (전문인력이민 점수계산)

경력은 최근 10년 이내 1년 이상의 캐나다 내외 경력 모두 인정이 되는데 1년 연속으로 동일한 포지션의 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즉, NOC 4자리 숫자코드가 일치해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요리사 경력이 6개월, 간호사 경력이 6개월 이라면 같은 B직군이라도 조건에 맞지 않아요. FSW는 직군 상관없이 CLB 7점 이상이어햐 하고, 고졸 이상이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잡오퍼는 필수요건은 아니지만 있다면 추가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기능직기술이민 FSTP

마지막으로 기능직 기술이민은 최근 5년 이내 2년 이상의 캐나다 내외 경력 모두 인정됩니다. 이 카테고리는 NOC B 직군만 가능한데 모든 직종이 다 되는게 아니라 B직군 중 4개의 메이저 그룹과 2개의 마이너 그룹에 속한 직종만 가능합니다.

다른 카테고리보다는 낮은 영어점수로 신청이 가능하나 LMIA를 통한 1년 이상의 잡 오퍼나 신청자의 직업과 관련된 캐나다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Express Entry의 카테고리를 잘 살펴보고 조건에 맞는다면 가장 빠르고 쉬운 영주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마블리에

Sweet Newlywed Life in Canada. 캐나다 이민 및 일상 생활 정보 공유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